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71152 후손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도움말
성명
한자 朴榮山
이명 朴炳坤, 朴永山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년도 1995 훈격 애국장
1909년 만주(滿洲)로 망명하여 한족회(韓族會)에서 활동(活動)하였고 1919년에는 (북로(北路))군정서(軍政署), 1920년대(年代) 중반에는 정의부(正義府)길반총관(吉盤總管)재만농민단체(在滿農民團體)에서 활동(活動)하다 1931년 작고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2권(1996년 발간)

경북 청송(靑松) 사람이다.

수십 년 동안 향리에서 한학을 연구하다가 1909년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19년 3·1운동 이후에는 한족회(韓族會)에서 활동하였다. 그가 활동하고 있던 이 단체는 1919년 4월 초순 이상룡(李相龍) 등이 중심이 되어 유하현(柳河縣) 고산자(孤山子)에서 조직한 한인자치기구이다. 이 단체에서는 재만동포들에 대한 자치활동을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하여 유하현 삼원보(三源堡) 시가에 본부인 중앙총부(中央總部)를 두고 그 최고 책임자로 이 탁을 임명하였다. 그리고 서무사장 김종훈(金宗勳), 사판(査判)사장 이진산(李震山), 학무사장 김형식(金衡植), 재무사장 남정섭(南廷燮), 상무(商務)사장 김정제(金定濟), 군무사장 양규열(梁圭烈), 내무사장 곽 문(郭文), 검사감 최명수(崔明洙) 등을 두어 재만동포의 치안·재무·사법·행정 등을 담당하게 하였다

한편 박영산이 활동한 한족회는 지방자치조직도 체계화하였다. 당시 한족회의 지방 조직은 유하현·통화현(通化縣)·흥경현(興京縣)·환인현(桓仁縣)·집안현(輯安縣)·임강현(臨江縣)·해룡현(海龍縣) 등지에 걸쳐 있었으며, 호수는 1만여 호에 달하였다. 이곳에 한족회에서는 동포 1천 호마다 1명의 천가장(千家長)을, 1백 호마다 백가장(百家長)을, 10호마다 십실장(十室長) 1인씩을 두었다. 이러한 한족회의 자치조직은 1912년부터 조직되어 있었던 부민단(扶民團) 등의 체제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한족회의 지방자치는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그 후 박영산은 군정서(軍政署)·정의부(正義府)·재만농민동맹(在滿農民同盟) 등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다, 만주사변 직후인 1931년 10월 11일 반석현(磐石縣)에서 병으로 서거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국사편찬위원회) 제8권 322면
  • 동아일보(1931. 10. 22)
  • 조선일보(1931. 10. 21)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14집 916면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도움말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순번 성명 이명 출신지 관련사건
1 박영산 박병곤(朴炳坤), 박영산(朴永山) 경북 청송(靑松) 부민단, 한족회, 정의부, 서로군정서, 재만농민동맹
본문
1887년 1월 2일 경상북도 청송군(靑松郡) 진보면(眞寶面) 월전동(月田洞)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한학을 공부하였고, 1909년 중국 지린성(吉林省) 판쓰현(磐石縣)으로 이주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명으로 박병곤(朴炳坤)·박영산(朴永山)을 사용하였다. 부인은 임씨이고, 슬하에 정규·순규를 두었다.1912년 만주 퉁화현(通化縣) 합니하(哈尼河)에 본부를 두고, 허혁(許赫)·김동삼(金東三) 등을 중심으로 한인자치기구 부민단(扶民團)을 설립하였다. 부민단은 한국인들의 자치 생활과 민족의식을 고취하고자 교육을 중시하였다. 당시 부민단에 가입하여 박주영(朴周榮) 등과 같이 류허현(柳河縣) 삼원보(三源浦) 일대에서 군자금 모집 활동을 하였다. 1919년 4월 서간도의 류허·퉁화·환런(桓仁)의 한인 사회를 중심으로 부민단을 확대 개편하여 한족회(韓族會)를 조직하였다. 이탁(李鐸)·김동삼 등을 중심으로 설립되었고, 산하에 군정부를 편성하여 한인 자치와 독립군 양성, 군자금 지원 활동을 병행하였다. 당시 한족회에서 활동하였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명에 따라 군정부가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로 개편되자, 서로군정서에서 김정제(金定濟)·이근진(李根眞) 등과 같이 선전위원으로 독립운동을 펼쳤다.1920년 10월부터 약 6개월 동안 서간도 지역에서는 ‘경신참변’으로 한인 사회가 큰 피해를 입었다. 이러한 한인 사회와 독립운동 세력을 규합하고자 1922년 통의부(統義府)가 설립되었으나, 지도층의 이념과 노선이 맞지 않아 분열되었다. 그 후 1924년 11월 24일 서간도 지역의 8개 독립운동 단체가 통합하여 정의부(正義府)를 설립하였다. 한국인의 자치·교육·군사·민생 등을 망라하는 독립운동 단체인 정의부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또한 1923년 5월 지린성 화뎬현(樺甸縣)에서 단조기념회(檀祖紀念會) 발기회에서 발기인으로 참가하였다. 단조기념회는 기념비를 세우고 백두산 산하에 중앙본부를 두며, 국내외에 지회를 설치하고 상호간의 연락을 취하고자 하였다. 1923년부터 이듬해 초까지 정현사(正縣社) 회장으로 활동하였다.1925년에는 한족노동당(韓族勞働党)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28년 2월 판쓰현에서 한족노동당을 확대 개편하여 재만농민동맹(在滿農民同盟)을 조직하였다. 만주의 대부분 한국인들은 농민 신분이기에, 강령과 노선을 바꾸어 농민들의 경제적·정치적 권리를 보장하고자 하였다. 1931년 10월 11일 판쓰현 동우(東隅)에서 병으로 사망하였다.대한민국 정부는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박영산(관리번호:71152)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