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훈전자사료관

통합검색
독립유공자 명단보기
 

유공자정보

수형기록
관리번호 11073
성명
한자 申鳳均
이명 없음 성별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본적
액자프레임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포상정보

수형기록
운동계열 의병 포상년도 1995 훈격 애족장
1895년 경북(慶北) 풍기(豊基)에서 거의(擧義)하여 80여명의 군사들과 함께 경북(慶北) 주흘관(主屹關)에서 적군과 교전하는 등 활동하였고 1907년 유인석(柳麟錫)의 행방을 추궁하는 일군(日軍)에 항거하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원문보기 한자보이기

 

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12권(1996년 발간)

경북 풍기(豊基) 사람이다.

의병장으로 경북 풍기 일대에서 활약하였다.

신봉균은 1895년 을미사변(乙未事變)의 변보(變報)를 전해 듣고 비분강개하였는데, 이어서 일제와 친일정권에 의해 을미개혁(乙未改革)으로 단발령까지 강행되자 그 분노는 폭발하여 토적복수(討賊復讐)를 부르짖고 향리인 풍기에서 80여 명의 의병을 모아 거의하였다. 그리하여 의병장에 추대되어 적성(赤城)을 출발하여 주흘관(主屹關) 아래에 진을 치고 있었다. 이날 적군이 내습하여 격전을 벌였으나 패퇴하여 백운동(白雲洞) 송림으로 옮겼다. 그런데 야밤에 적들이 내습하여 군졸이 사방으로 흩어졌고 그 또한 부상을 입게 되었다. 이에 따라 그는 단신으로 초암사(草菴寺)에서 요양을 하고 있었다.

그 후 일제는 1905년 11월 「을사륵약(乙巳勒約)」으로 자주적 외교권을 박탈하고, 이듬해 1월 통감부(統監府)를 설치하여 통치권을 장악하는 등 한국 식민지화 정책을 가속화시켜 갔다. 이렇게 되자 우리 민족은 본격적인 반일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게 된다. 이에 을미의병에 참가했던 의병들이 재봉기하는 한편, 1907년 7월 「정미7조약(丁未7條約)」에 따른 군대해산으로 해산군인들이 대거 의병대열에 참여함으로써 의병운동은 국민전쟁으로 확대되고 있었다.

신봉균도 이같은 시기에 재기를 모색하던 중, 1907년 10월 붙잡혀 유인석 의병장의 행방을 추궁하는 일제에게 끝까지 항거하다가 피살,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1집 74면
  • 의병대장 학암 신봉균선생 행장(유해동찬, 1970)
  • 의암집 하권 699면

묘소정보

도움말
묘소정보 1
묘소구분 안내
미확인
  • 해당 유공자는 묘소 위치 확인이 필요한 독립유공자 입니다. 더보기

감사의 글 Total 0
목록 개수

인쇄 목록
  •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십시오.
  • 이용자의 참여가 사이트 가치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 독립유공자 공적조서는 정부포상 결정당시의 ‘공적조서’를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 독립유공자 공훈록은 공적조서상 근거정보를 기본바탕으로 전문가의 원고집필을 통해 발간된 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공적개요(공적조서)과 공적내용(공훈록)’은 원칙적으로 수정불가하며,
  • 다만,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기본정보(성명, 생몰일자, 본적지)에 대한 사항은 ‘오류신고’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하단의 '오류신고목록'을 이용하시면 신고 내용의 적용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오류 신고 시, 개인정보 입력은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
페이지 별 오류신고
화면(사료)위치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신봉균(관리번호:11073) 오류 유형 *
오류 제목 *
오류 내용 *